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중위소득 기준과 복지 혜택 I 100%, 120%, 180%

by 제로킴 2025. 4. 1.
반응형

 

 

 

2025년 중위소득 기준, 내 소득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은?

 

"우리 집은 정부 지원 대상일까?" "내가 받는 소득으로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지?" 2025년을 맞이하며 가장 많이 검색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각종 복지제도 신청 여부를 좌우하는 기준선으로 작용하고 있죠.

 

정부는 매년 가구 수에 따라 중위소득을 발표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복지 정책을 운영합니다. 기초생활보장, 에너지바우처, 주거급여, 청년 지원금, 육아·교육비 지원 등 대부분의 제도는 바로 이 '중위소득 기준'을 충족해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본인의 소득이 중위소득 몇 %에 해당하는지, 어떤 복지 서비스에 해당되는지 명확히 아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2025년 최신 중위소득표와 함께, 지금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총정리해드립니다. 나도 몰랐던 숨은 지원금이 있을지, 지금부터 확인해보세요!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이는 복지제도에서 지원 대상자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으로 사용되며,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80%
1인 2,220,000원 3,996,000원
2인 3,640,000원 6,552,000원
3인 4,692,000원 8,445,600원
4인 5,700,000원 10,260,000원
5인 6,610,000원 11,898,000원
6인 7,470,000원 13,446,000원

 

* 중위소득은 매년 변동되며, 위 표는 가상의 수치로 예시입니다. 실제 수치는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을 참고하세요.

 

중위소득 100% 이하 혜택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다양한 복지 혜택의 기준점이 되는 소득구간입니다. 특히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요 수급 대상으로 분류됩니다.

 

  • 생계급여: 중위소득 30%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 47% 이하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위급여는 각각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신청 가능하며, 가족 구성원과 재산 기준 등 추가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120% 이하 혜택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는 다자녀,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정 등 다양한 정책사업의 수혜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경감
  • 청년월세지원,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참여 가능
  • 한부모가정 양육비 지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일부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혜택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도 각종 주거, 의료, 교육비 경감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가능
  • 청년·신혼부부 전세자금 이자 지원
  •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대상 포함

 

 

중위소득 180% 이하 혜택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는 중산층 이하로 분류되며, 주로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지원 정책과 장학금 혜택에 포함됩니다.

 

  •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가능
  • 버팀목 전세자금 대상 포함
  • 국가장학금 2유형 일부 수혜 가능

 

 

중위소득에 따른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복지 혜택은 단순히 소득 기준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재산과 부양의무자 유무, 지역별 기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가구 소득은 건강료 납부액 기준으로 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자체 복지포털 또는 복지로(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 가능
  • 신청 시에는 주민등록등본, 건강납부확인서, 통장 사본 등 서류 제출 필요

 

 


 

2025년 중위소득 기준은 복지 수급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신이 속한 소득구간을 확인하고, 해당되는 정부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이므로, 조건을 충족한다면 빠르게 신청을 고려해 보세요.

 

반응형